1 life 2 live
스마트팩토리 설립에 필요한 내용 [20.12.28] 본문
코로나19로 인해 Untact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제조공장을 운영하는 대표A는 기존의 생산방식과 다르게 운영인력을 재 배치하고 되도록이면 로봇 등을 이용하여 자동화 하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대표A는 이에 대한 많은 경험이 없어 전문가의 조언을 듣고 미래 제조공장을 계획하려고 한다. 4차산업혁명시대 기술들과 연계하여 대표A에게 당신의 조언 |
↓
최근 코로나로 인한 Untact 제조 공장이 필요한 시대이다. 기존 생산방식과 다르게 인력의 운용을 최소화하고 로봇 등을 이용하는 스마트 팩토리 제조 공장이 필요한 시점이다. 스마트 팩토리를 운영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이미 적용하고 있는 회사를 보고 배우는 방법이다. 예를 들자면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방식이 있다. 인더스트리 4.0을 통하여 독일이 어떻게 스마트 팩토리를 이루어 나가는지 방향성을 살펴보고 독일의 점검 결과를 활용하여 자신의 스마트 공장에 기술을 접목시키는 방향으로 미래 제조공장을 계획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인더스트리 4.0을 개선한 플랫폼 인더스트리 4.0도 참조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독일에서 만든 인더스트리 4.0 이 외에도 미국, 일본, 유럽 같은 나라들의 연구 개발을 벤치 마크하여 인수개발(M&D)도 생각해볼 수 있다. 사실 스마트 팩토리라고 하지만 다 같은 스마트 팩토리가 아니다. 어느 정도로 만드냐에 따라서 고도화, 중간수준, 기초수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A씨는 인력을 줄이고 로봇을 자동화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최소 중간수준은 넘어서 고도화 수준까지 멀리 봐야한다. 사실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아직 우리나라의 고도화 수준의 스마트 팩토리는 많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최종 목표인 고도화 수준까지 갈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산업부의 도움을 받아 스마트 팩토리 공장 설립에 도움을 받는 방법도 좋을 것이다. 2025년까지 3만개의 스마트 팩토리를 만든다고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막막하게 느껴진다면 각 지역마다 위치한 스마트제조혁신센터를 방문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그저 과제를 하면서 생각한
제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스마트팩토리(스마트 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팩토리 - POP과 MES의 차이점 [21.1.3] (0) | 2021.01.03 |
---|---|
스마트팩토리 MESA - 11가지 기능, MES GROUP, 기술 요구사항 [21.1.2] (0) | 2021.01.02 |
스마트 팩토리 MES의 필요성 [21.1.1] (0) | 2021.01.01 |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공급기업(티라유텍)과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의 기능 [20.12.31] (0) | 2020.12.31 |
해외와 국내의 스마트 팩토리의 차이점 [20.12.29] (0) | 2020.12.29 |